홈 > 자료실 > 연구성과물

 
제목 [트랜스내셔널인문학총서] 변경과 경계의 동아시아사
첨부파일  

변경과 경계의 동아시아사(RICH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총서 16)(혜안, 2018.4)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기획/ 이세연 엮음



 


RICH 트랜스내셔널인문학총서 16권.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에서 주최한 학술회의 '변경과 경계의 동아시아사'의 연구 성과들을 책으로 묶었다. 책의 저자들은 '국경선'이라는 선(線)으로서의 경계 위에 존재하는 내셔널 히스토리의 허구를 드러내고자 하는 '변경사(border history)'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지대(zone)로서의 경계의 맥락'에서 동아시아사를 되돌아본다.

19~20세기에 집중되었던 변경사 연구의 지평을 넓혀 동아시아의 한층 다채로운 역사경험을 생동감 넘치는 필치로 그려냈다. 국민국가라는 '기울어진 운동장'이 건재한 이상,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망령'은 언제고 다시 부활할 수 있다. 내셔널 히스토리가 자아낸/자아내고 있는 역사인식의 '자명함'을 비틀어 끊임없이 다르게 질문해야 한다는 저자들의 주장은 한국사회의 역사현실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이기도 하다.


책머리에

1부 제국과 변경, 거시적 조망

윤해동|한국 변경사 연구 시론-지대, 선, 영토
1. 머리말
2. 네르친스크 조약과 조선의 변경지대 인식
3. 북경조약과 변경지대 인식 변화
4. 맺음말

박혜정|변경에서 보는 청 제국-북서부 스텝과 동남 해안의 사이에서
1. 머리말:청 제국에서의 변경의 중요성
2. 제국과 변경
3. 북서부 변경의 평정을 통해 보는 청 제국
4. 동남 해안의 해양 변경에서 보는 청 제국
5. 맺음말

조원|元 후기 󰡔經世大典󰡕의 편찬과 六典體制
1. 머리말
2. 文宗 톡테무르시기 󰡔經世大典󰡕의 편찬

책머리에

1부 제국과 변경, 거시적 조망

윤해동|한국 변경사 연구 시론-지대, 선, 영토
1. 머리말
2. 네르친스크 조약과 조선의 변경지대 인식
3. 북경조약과 변경지대 인식 변화
4. 맺음말

박혜정|변경에서 보는 청 제국-북서부 스텝과 동남 해안의 사이에서
1. 머리말:청 제국에서의 변경의 중요성
2. 제국과 변경
3. 북서부 변경의 평정을 통해 보는 청 제국
4. 동남 해안의 해양 변경에서 보는 청 제국
5. 맺음말

조원|元 후기 󰡔經世大典󰡕의 편찬과 六典體制
1. 머리말
2. 文宗 톡테무르시기 󰡔經世大典󰡕의 편찬
3. 󰡔經世大典󰡕의 구성과 六典體制
4. 󰡔經世大典󰡕의 구성에 반영된 정치적 의도
5. 맺음말

2부 자타인식의 심층

김보광|고려전기 탐라에 대한 지배방식과 인식의 변화
1. 머리말
2. 탐라의 고려 來附와 편입:‘外國’에서 ‘蕃土’로
3. 문종대 이후의 탐라에 대한 지배방식:‘蕃土’에서 郡縣으로
4. 지배방식에 따른 탐라 인식의 변화
5. 맺음말

한승훈|변경의 접촉지대 三島, 그리고 巨文島의 탄생
1. 머리말
2. 조선과 일본의 접촉지대 三島
3. 영국의 삼도 탐사와 점령
4. 영국의 철수와 조선의 巨文鎭 설치
5. 맺음말

3부 경계지대의 텍스트

이세연|󰡔新羅之記録󰡕의 구상과 변경의 심성
1. 머리말
2. 두 가지 혈맥과 변경의 貴種
3. 경계인의 자타인식
4. 실용과 생존의 ‘弓馬之道’
5. 맺음말

정면|‘白族’의 탄생-󰡔白族社會歷史調査󰡕와 󰡔白族簡史󰡕의 분석을 중심으로
1. 누가 ‘백족’을 만들었는가?
2. ‘백족의 형성’과 洱海 지역 大姓의 家譜
3. ‘大理白族自治州’의 성립과 土官‧土司
4. 帝國과 변경:정체성’ 만들기

제국 일본의 역사학과 '조선' - 식민주의 역사학과 제국 2 2018-11-09
일제의 식민지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 2018-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