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37 |
[연구논문] 정다함,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
5666 |
36 |
[연구논문] 민가영, 「'아래로부터' 발생하는 초국가적 효과와 그 맥락에 관한 연구: 몽골 이주 노동자… |
5636 |
35 |
[연구논문] 민가영,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 교육」 |
5436 |
34 |
[연구논문] 박선주, 「트랜스내셔널 문학: (국민)문학의 보편문법에 대한 문제제기」 |
5516 |
33 |
[연구논문] 정다함, "Making Chosŏn's Own Tributaries" |
5582 |
32 |
[연구논문] 임지현, "Narody-ofiary i ich megalomanie" |
5414 |
31 |
[연구논문] 민가영, 「교육소외경험에 대한 트랜스내셔널 비교연구」 |
5480 |
30 |
[연구논문] 민가영, 「트랜스개념을 통한 저소득층 십대 이주 여성의 반복적 이주에 관한 연구」 |
5570 |
29 |
[연구논문] 박소현, 「미술의 공공성을 둘러싼 경합의 위상학-일본에서의 미술가 탄생에 대한 재해석」 |
5508 |
28 |
[연구논문] Alisa Jones, "Nationalizing the Past: Korea in Chinese Histo… |
5547 |
27 |
[연구논문] 임지현, "Victimhood Nationalism and History Reconciliation in E… |
5404 |
26 |
[연구논문] 정다함, 「조선전기의 정치적∙종교적 질병관, 醫∙藥의 개념∙범주, 그리고 치유방식」 |
5476 |
25 |
[연구논문] 박소현, 「Anti-Museology 혹은 문화혁명의 계보학: ‘현대미술사’의 창출과 제도화의 문제」 |
5316 |
24 |
[연구논문] 홍양희, 「이마무라 도모의 <<조선풍속집>>과 조선사회 인식」 |
5260 |
23 |
[저서] [트랜스내셔널인문학총서 3] 『어린이·청소년 역사책, 길을 묻다』 (책과함께, 2014) |
7756 |